카카오톡 비즈니스 광고를 활용한 수익 극대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상황에 따라서 적절하게 쓴다면 엄청나게 큰 수익을 낼 수도 있는데요. 한 시간 동안만 광고를 돌려도 운이 좋을 땐 1000달러(150만 원) 정도 수익이 나기도 했습니다.
이걸로 애드센스 뿐만 아니라 제휴마케팅 수익, 쿠팡 파트너스 수익도 낼 수 있었습니다. 특히 저는 유튜브 채널 구독자 수를 1만명까지는 카카오톡 비즈니스 광고로 늘린 적도 있습니다. 단가가 저렴해서 구독자 수 늘리는데 엄청 유용했었던 기억이 있네요.(유튜브 구독자 늘리기가 아직 먹히는지는 몰라요)
카카오톡 비즈니스 광고 수익
이 방법은 당연히 돈 넣고 돈 먹는 방법으로 차익을 남길 수 있어야 합니다. 초보자라면 어떻게 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하나씩 차근차근 진행해보시면 됩니다.
카카오톡에 광고를 돌리려면 카카오비즈니스 계정이 있어야 합니다. 카카오비즈니스 계정 가입은 여기를 클릭하시면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비즈니스에 가입을 완료하면 카카오모먼트(광고계정)을 만들면 됩니다. 광고계정을 만들려면 사업자로 가입하거나 개인으로 만들면 됩니다.
개인으로 진행하신다면 그냥 사업자등록번호 없음에 체크하고 진행하셔도 됩니다.
카카오비즈니스 광고 세팅
카카오비즈니스는 계정 차단에 대한 부담이 구글, 페이스북 비즈니스보다 낮습니다. 만약 불안하시다면 세컨폰(듀얼넘버)로 계정을 만들어 진행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처음 카카오비즈니스 가입, 광고계정 새성 완료가 되면 광고 만들기 버튼이 생깁니다. 광고 만들기를 클릭하거나 카카오모먼트(광고) 페이지에서 캠페인 만들기를 클릭한 후 유형과 목표를 선택하면 됩니다.
- 광고유형 – 디스플레이
- 광고목표 – 방문(트래픽)
유형과 목표를 디스플레이 방문으로 선택한 후 캠페인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캠페인 만들기
유형과 목표를 선택하면 캠페인 전환 추적 설정과 예산, 캠페인 이름이 나옵니다. 여기서 우리는 일단 필셀 & SDK 세팅을 할 줄 모르니까 미설정을 합니다. 만약 본인이 픽셀 삽인을 할 줄 안다면 설정하시는 게 좋습니다.
예산도 미설정으로 해놓습니다. 보통 대기업이 많이 광고를 돌린다고 생각해서 그런가 여기서 고민을 많이 하시는데 그냥 미설정으로 하고 진행하면 됩니다. 캠페인 이름도 무작위로 만들어주세요.
광고그룹 만들기를 클릭하면 맞춤타켓, 데모그래픽(조건)을 세팅하면 됩니다.
데모그래픽
- 성별 – 보통 전체로 하는 게 맞습니다.
- 나이 – 본인이 광고하려면 타겟 나이를 잘 고려해서 선택합니다.
- 지역 – 보통 국내만 선택합니다.
디바이스
우리 광고를 노출할 곳은 모바일입니다. 점차 모바일 사용자 수가 압도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중입니다. 사무직 업무를 하지 않는 이상 PC를 잘 안쓰기 때문에 모바일만 해도 충분합니다. 게재지면은 가능한 모든 곳에 노출이 되도록 하면 좋습니다.
예산세팅
- 입찰방식 – 수동입찰 CPC로 해놓고 10원부터 시작해 10원씩 올려봅니다.
- 일 예산 – 일 예산은 많이 써도 클릭이 안 일어나면 어차피 낭비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1만원에서 5만원 사이로 걸어놓으시면 됩니다.
- 집행기간 – 종료일 미설정
- 요일/시간 – 가능한 모은 요일/시간 노출
- 게재방식 – 일반 게재
테스트는 이렇게 하면 됩니다. 일 예산 1만 원이 모두 사용 되었을 때 트래픽(카카오톡 유입수)와 그에 따른 RPM, 예상 수익 만원 보다 몇 배로 더 많이 나오는지 보면 됩니다.
1만 원을 썼을 때 최소 20달러 이상 이익이 생겨야 광고를 집행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소재 수정 세팅
광고 소재 수정에 프로필 이미지와 홍보이미지는 되도록 카카오톡에서 어떤 식으로 광고를 집행하고 있는지 벤치마킹해서 올리시면 됩니다. 최대한 깔끔하고 전문적으로 보이게 만드는 게 좋습니다.
프로필 이미지는 광고 계정이름이나 사업자 이름하고 동일하게 만들어주시면 됩니다. 카카오는 자극적으로 소재를 만들면 안됩니다. 그래서 기본적인 이미지(최대한 깔끔)로 검토를 진행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비승인 처리되면 불일치 된 내용, 카카오가 요청사항을 하나씩 수정해 발행하면 됩니다. 그리고 광고를 집행하려는 사이트도 최대한 전문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게 좋습니다.
카카오 비즈니스 인사이트(타코하우)
제가 얻은 결과값이기 때문에 100% 신뢰하시면 안됩니다. 스스로 테스트를 해보고 결과를 만들어가셔야 합니다. 수익률은 광고비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5배 정도 나왔습니다. 만원을 쓰면 최고 5만 원 정도는 나왔으니 차익만 놓고 보면 4만 원 정도 벌었습니다.
키워드는 경제(금융), 비즈니스, IT제품, 렌탈서비스, 건강, 육아, 스포츠 중계 등 시도해봤습니다. 오픈 런칭 타이밍에 광고가 노출되면 수익을 엄청 극대화 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폰 사전예약 출시 기간에 맞춰 광고로 노출 시켰을 때 쿠팡 파트너스 연동을 한 사이트에 애드센스 수익과 쿠팡 파트너스 수익만 1시간 동안 150만원 이상 나왔었습니다.
광고를 처음 돌리면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당연히 시행착오가 필요한 영역이라서 어느 정도 손해를 감안하고 진행하셔야 합니다. 처음에는 비용을 최소로 해서 테스트해보고 반응이 좋으면 예산을 점차 늘려서 최소 5에서 최대 10일 정도는 모니터링하면 됩니다.
주의사항
전환율이 랜덤합니다. 클릭을 하나 실행 자체가 카카오톡에서 웹사이트가 열리기 때문에 브라우저 특성상 트래픽만 찍히고 수익이 나지 않기도 합니다. 그러나 단가가 낮은 장점 때문에 쓰기도 합니다.
수익이 너무 안 나온다면 연령대를 클릭을 잘하는 50대 이상으로 높여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승인 받은 사이트에 광고와 버튼 배치를 재구성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그럼에도 차익이 안 난다면 주제를 바꿔서 새로 광고 진행을 하거나 그만 두셔도 좋습니다.
과제
- 카카오비즈니스 계정 만들기
- 카카오모먼트 광고 집행 전까지만 세팅해보기
- 여유가 된다면 5~10일 정도만 광고 돌려보기(일 예산 1만원)
- 카카오비즈니스에 어떤 카테고리가 있는지 구경하기
- 카카오채널도 만들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