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임대사업자가 임대를 목적으로 전용면적 60제곱미터 이하 공동주택 또는 오피스텔을 최초로 분양받을 때 취득세 면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임대사업자 취득세 면제 지방세특례제한법 제31조제1항에 따른 법률근거에 따라서 임대 목적을 가진 전용면적 60제곱미터 이하인 공동주택, 오피스텔을 최초분양을 받은 주택임대사업자는 취득세를 면제 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임대사업자 취득세 면제 조건 건축주는 공동주택 또는 오피스텔을 신축하고 보존등기하고 건축주로부터 소유권을 최초로 이전해야 합니다. ⚠️주의하셔야 할 점은 다가구는 공동주택에 해당되지 않으며, 2020년 7월 11일부터 아파트도 불가능합니다. 취득일로부터 60일 이내 해당 부동산을 임대목적물로 하는 임대사업자로 등록을 완료해야 합니다. 또 민간임대주택에 ..
부동산 취득세와 계산기, 취득세율, 감면, 납부 신고, 환급 방법을 알아보자. 부동산 취득세 부동산 취득세 과세대상물건을 취득한 사람이 납세의무자로서 과세물건을 취득한 날부터 2달(60일) 이내에 관할구청으로 방문해 신고하면 됩니다. 이때 신고하는 과정에서 산출된 세액을 납부하면 되고 이를 정확히 계산하지 않고 부족하게 내는 경우, 취득한 사실을 무시하고 세금을 내지 않으면 가산세를 추가로 부담해야 할 수 있습니다. 취득세 납부대상 토지 및 건물 등 부동산(과세대상물건)을 취득한 사람이라면 납세 의무가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차량, 선박 등도 포함됩니다. 부동산 계산기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바로가기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입력사항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를 통해서 정확한 정보를 입력해 납부해야 할 세금을 확인할..
현금 증여세율과 증여공제 기준,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증여세란? 증여세는 다른사람으로부터 재산을 증여받았을 때 그 자산을 증여받은 사람이 부담해야 할 세금을 말합니다. 이 제도는 가족(직계존비속) 간의 자산 증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부동산 거래 시 자산을 양도하고 증여하는 과정에서 매수자는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증여세 계산방법 증여재산가액(현금증여액, 부동산시세 등) - 비과세(기타 관련 세금 등) - 채무부담액 + 증여재산가액 - 증여공제 = 증여세 과세표준 증여재산가액에서 비과세 되는 부분은 뺀 후 차액에서 채무부담액을 뺍니다. 여기서 나온 값을 증여재산가액을 더하고 증여공제가 되는 금액만큼 뺀 차액이 증여세 과제표준입니다. 증여공제 가족관계에서 자산을 증여하게 되면 일정한도..
공제란, 우리가 납부해야 할 세금을 절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크게 절세를 하는 방법에는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로 구분합니다. 두가지 공제 방식은 먼저 세금계산을 전체적으로 어떤 구조로 되어있는지 이해해야지만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세금공제 소득공제 세율 적용 전 소득을 줄이는 방법, 소득에 대한 부분에 과세가 되지만 모든 소득이 세금을 납부해야 하는 건 아니다. 특정 항목에서는 세금부과가 되지 않으며, 이걸 소득공제라고 한다. 소득공제는 세금이 부과되기 전 소득금액을 줄이는 제도라고 보면 된다. 하나의 예시를 들자면 부양가족 공제는 가족을 부양하는 수만큼 들어가는 비용은 소득에서 감면해준다. 세액공제 이미 산정된 세액을 줄일 수 있는 절세 방법이다. 세액공제는 세금을 최종적으로 줄일 수 있다. 세금의 총..
상속이란, 사망자의 재산을 물려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재산을 물려받는 건 좋은 일인데 왜 포기를 하는 걸까요? 여기서 자산을 물려준다는 것은 그 사람의 부채까지 받아야 한다는 겁니다. 따라서 상속인은 상속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이를 상속포기라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전체 또는 일부만 선택해서 포기하는 게 아니라 모든 것을 포기한다는 전제 조건으로만 진행이 가능합니다. 상속포기하는 법 자산을 받고 싶지 않다는 본인 의사만 있으면 됩니다. 단, 진행하는 과정에서 확인해야 할 사항과 신고 시 주의사항, 신고 후 주의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상속포기 전 확인사항 먼저 반드시 사망자가 남긴 자산 및 부채 상황을 확인합니다. 무작정 포기하기보다 안심상속 원스톱 같은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서 사망자의 재산 상태를 ..